맨위로가기

급진주의자를 위한 규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급진주의자를 위한 규칙》은 사울 알린스키가 저술한 지역 사회 조직에 대한 지침서이다. 이 책은 알린스키가 시카고 대학교 교수인 로버트 E. 파크에게서 영향을 받아 지역 사회를 도시 사회의 반영으로 보는 관점을 바탕으로 한다. 알린스키는 상징 구축, 공통의 적 설정, 직접 행동을 통해 빈곤층의 권한을 강화하는 것을 강조했다. 이 책은 13가지 실용적인 전술 규칙을 제시하며, 권력 획득과 유지를 위한 전략을 담고 있다. 알린스키의 방법론은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풀뿌리 운동과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치학 책 - 정치학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은 플라톤의 이상국가론을 비판하고, 다양한 정치 체제를 분석하여, 중산층을 강화한 혼합정을 이상적인 헌법으로 제시하며 국가 번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 정치학 책 - 루흐나마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이 집필한 《루흐나마》는 투르크멘 민족의 역사, 문화, 도덕, 윤리를 다루는 책으로, 교육 과정 필수 교재 지정 및 광범위한 개인 숭배 조장 등 사회적 영향을 미쳤으나, 니야조프 사후 교육 과정에서 점차 제외되었다.
급진주의자를 위한 규칙 - [서적]에 관한 문서
개요
제목급진주의자를 위한 규칙
원제Rules for Radicals
부제A Practical Primer for Realistic Radicals
저자사울 알린스키
표지 미술가데이브 베이커
국가미국
언어영어
주제풀뿌리, 지역사회 조직
출판사랜덤 하우스
출판일1971년
미디어 유형인쇄물 (하드커버, 페이퍼백)
페이지 수196쪽
ISBN0-394-44341-1
0-679-72113-4
OCLC140535

2. 영감

알린스키는 시카고 대학교의 로버트 파크 교수로부터 받은 영향과 자신의 지역사회 조직 경험을 바탕으로 이 책을 저술했다.[5] C.I.O., 시카고 청소년 연구소, 시민 행동 프로그램(CAP)과의 협력을 통해 집단 행동과 빈곤층 권한 부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독자적인 지역사회 조직 방법을 개발했다.[7] 그는 지역사회 구조, 빈곤층, 그리고 그들의 권한 부여를 지역사회 활동의 핵심 요소로 보았다.[7] 또한, 공유된 사회 문제를 외부의 적대자로 규정하여 주민들의 결속을 강화하는 전략을 사용했다.[4]

그는 기성 권위에 저항한 최초의 급진주의자로 루시퍼를 언급하며 저항 정신을 강조했다.

학문적인 측면에서 알린스키는 토크빌을 인용하며, 자유와 평등에 대한 개념과 중산층의 중요성에 대한 관점을 차용했다.[2]

3. 주제

알린스키는 조직 내부의 단결을 강화하기 위해 상징 구축을 활용했다.[4] 그는 특정 교회나 종교적 소속에 대한 충성심을 활용하여 운영 가능한 구조화된 조직을 만들었는데, 이는 공동체가 스스로를 식별할 수 있는 상징이 있으면 직접 행동을 수행하는 데 더 쉽게 동원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일단 공동체가 공통의 상징 뒤에 단결하면, 알린스키는 공동체가 대항할 공통의 적을 찾았다.

공동체에 대한 공통의 적 활용은 ''급진주의자를 위한 규칙''의 또 다른 주제였다.[8] 알린스키는 활동하는 공동체에 "공통의 적"으로 만들 외부 적대자를 찾았는데, 이는 종종 지역 정치인이나 공동체 관련 활동에 관여한 기관이었다. 적이 정해지면 공동체는 이에 반대하여 함께 뭉쳤다. 이러한 갈등 관리는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유사점과 조직 외부 사람들과의 차이점에 대한 공동체의 인식을 높였다.[4] 또한 갈등의 활용은 그룹의 목표를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게 했다. 외부의 적대자가 정해지면 공동체의 목표는 그 적을 물리치는 것이었다.[4]

상징 구축은 구조화된 조직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었고, 이는 직접 행동을 통한 비폭력적인 갈등을 가능하게 했다. 직접 행동은 공동체의 단결을 더욱 확립하고 공동의 적을 물리치는 공동체의 목표 달성을 촉진하는 갈등 상황을 만들었다.[3] 또한 공동체가 싸우고 있는 문제들을 대중의 눈앞에 드러냈다. 알린스키는 ''급진주의자를 위한 규칙'' 전체에서 무시할 수 없는 과장된 공개 시위를 장려했으며, 이러한 전술을 통해 그의 조직은 일반적인 관료적 절차보다 더 빠르게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다.[4]

''급진주의자를 위한 규칙''과 알린스키의 작품 전체에서 주된 주제는 가난한 사람들의 권한 부여였다.[7] 알린스키는 상징 구축과 비폭력적 갈등을 사용하여 명확하게 정의된 목표를 가진 구조화된 조직을 만들었고, 이는 공통의 적에 대항하여 직접 행동을 취할 수 있었다. 이 시점에서 알린스키는 조직에서 물러나 공동체 스스로의 힘으로 진전을 이루도록 했는데,[4] 이는 조직이 변화를 만들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했다.[3]

3. 1. 규칙

알린스키가 제시한 13가지 규칙은 다음과 같다.

# 권력은 당신이 가진 것뿐만 아니라 적이 당신이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 당신의 사람들의 전문 지식을 벗어나지 마라.

# 가능하면 적의 전문지식을 벗어나라.

# 적군이 자신의 규칙 책에 따라 살도록 하라.

# 조롱은 인간의 가장 강력한 무기이다. 방어가 없다. 조롱에 반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그것은 야당을 화나게 하고, 그러면 그들은 당신에게 유리하게 반응한다.[8]

# 좋은 전술은 당신의 사람들이 즐기는 전술이다.

# 너무 오래 끌리는 전술은 끌림이 된다.

# 계속 압박하라.

# 위협은 일반적으로 그 자체보다 더 무섭다.

# 전술의 주요 전제는 적군을 지속적으로 압박할 작전을 개발하는 것이다.

# 네거티브를 충분히 세게 밀면 반대 방향으로 뚫고 들어갈 것이다. 이것은 모든 긍정적인 부분에 부정적인 면이 있다는 원칙에 기반한다.

# 성공적인 공격의 대가는 건설적인 대안이다.

# 목표물을 선택하고, 동결하고, 개인화하고, 양극화하라.

4. 비판

알린스키는 자신이 제시한 방법과 아이디어에 대해 비판을 받았다. 로버트 프루거와 해리 스페히트는 그의 가르침 상당 부분이 도시빈곤 지역에서만 효과적이었다고 지적했다.[9] 이들은 알린스키가 ''급진주의자를 위한 규칙''이 모든 저소득층 사람들을 조직하기 위한 도구라고 광범위하게 주장한 것을 비판했다. 또한 알린스키가 인위적으로 자극하는 갈등은 단결을 통해 번영하는 지역에서는 비효과적이라는 비판도 있었다.[9] 주디스 앤 트롤랜더는 알린스키가 활동했던 시카고의 여러 지역에서 그의 갈등 조장이 역효과를 낳았고, 지역 사회가 추구하는 정책 조정을 달성할 수 없었다고 비판했다.[3]

프루거와 스페히트는 ''급진주의자를 위한 규칙''에 담긴 지역 사회 조직 철학이 지나치게 이념적이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알린스키는 지역 사회가 정확한 목표를 결정한다고 믿었다. 그는 지역사회가 대립할 적을 만들지만, 갈등의 목적은 결국 지역 사회에 맡겨진다고 보았다. 프루거와 스페히트는 집단 내에서 종종 나타날 수 있는 상충되는 의견 때문에 이 아이디어를 비판했다.[9] 이들은 조직이 달성할 목표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알린스키의 믿음이 매우 낙관적이며, 외부의 적대자를 만들어내는 것과 모순된다고 보았다. 알린스키는 공통의 적을 만듦으로써 지역 사회를 위한 목표, 즉 그 적을 물리치는 것을 설정한다. 지역 사회가 스스로 목표를 만들 것이라고 말하는 것은 알린스키가 적을 물리치는 목표를 설정하는 것과 모순된다. 따라서 그의 믿음은 너무 이념적이고 모순적으로 보일 수 있는데, 조직이 그가 만들어낸 공통의 적을 물리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삼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9]

수잔 스톨과 랜디 스토커는 알린스키 스타일의 조직이 지역 사회와 지역 사회 조직에 대한 대중의 인식에 비효율적이고 파괴적이라고 비판하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지역 사회를 조직을 기다리는 혼란스러운 양떼(기존의 사회 심리적 네트워크와 유대 관계를 가진 능동적인 집단이 아닌)로 간주하고, 외부 전문가에게만 초점을 맞춘다.
  • 갈등을 만병통치약으로 숭배하며 페미니즘적 관점을 무관한 것으로 평가하는 성적인 권위주의를 보인다.
  • 권력에 대한 인식이 지나치게 단순하다.


스톨과 스토커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지역 사회 조직의 공적, 사적 분열과 성적인 조직 전술 간의 차이로 설명하며, '지역 사회 조직'(알린스키/남성 중심적)과 '지역 사회 조직화'(페미니즘적)를 구분했다.[10]

5. 영향

《급진주의자를 위한 규칙》은 출간된 이후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 책은 다양한 커뮤니티와 기관 단체의 정책 결정 및 조직에 영향을 미쳤으며, 사울 알린스키와 산업 지역 재단(IAF) 등을 통해 교육받은 정치인과 활동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4]

1972년 알린스키가 사망한 후, 그의 영향력은 다른 조직과 정책 변화를 낳는 데 기여했다. 『급진주의자를 위한 규칙』은 1980년대 초 연합 지역 조직(United Neighborhood Organization, UNO)을 결성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4] UNO의 설립자인 그렉 갈루초, 메리 곤잘레스, 피터 마르티네즈는 모두 알린스키의 제자였다.[4] UNO의 활동은 시카고 남동부의 위생, 청결, 교육 개선에 기여했다.[4] 또한 1970년대 시카고의 북동부 조직 설립자들은 알린스키의 원칙을 적용하여 다민족 지역을 조직하여 더 큰 정치적 대표성을 얻었다.[4]

『급진주의자를 위한 규칙』은 알린스키의 제자들에 의해 널리 퍼져나갔다. 에드워드 T. 챔버스와 같은 알린스키의 제자들은 『급진주의자를 위한 규칙』을 사용하여 IAF, 퀸즈 시민 기구,[11][12] 및 공공 서비스 조직 커뮤니티를 결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알린스키의 또 다른 제자인 에르네스토 코르테스는 1970년대 후반 히스패닉 지역을 조직하면서 샌안토니오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그의 교회 기반 조직 활용은 "구성 단위가 개인이 아닌 조직이 되도록 기존의 연대 지역 요소, 특히 교회 그룹을 활용"함으로써 알린스키의 인기 있는 방법으로 많은 찬사를 받았다.[7]

《급진주의자를 위한 규칙》의 방법과 가르침은 미드아메리카 연구소, 국민 행동 (National People's Action), 국립 훈련 및 정보 센터, 커뮤니티 조직을 위한 태평양 연구소, 커뮤니티 서비스 조직과도 연관되어 있다.[7]

《급진주의자를 위한 규칙》의 방법론은 현대 미국 정치에서도 나타났다. 회중 기반 조직화는 제시 잭슨이 자신의 정치 캠페인을 조직했을 때와 관련이 있다.[13] 이 책은 딕 아미가 회장으로 재임하던 시절, 티 파티 보수 단체 프리덤웍스에 의해 배포되었다.[14][15] 힐러리 클린턴은 알린스키의 동원 모델에 대한 대학 논문을 썼지만, 당시의 갈등에는 이 전략이 제한적으로만 유용하다고 판단했다.[16] 또한 이 책은 백인 우월주의자 앤드루 앵글린의 수사 전략에도 영향을 미쳤다.[17]

참조

[1] 서적 No Shortcuts: Organizing for Power in the New Gilded Ag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2] 서적 Rules For Radicals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3] 논문 Social Change: Settlement Houses and Saul Alinsky, 1939–1965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 논문 Alinsky in the 1980s: Two Contemporary Chicago Community Organizations Midwest Sociological Society
[5] 서적 Rules For Radicals http://archive.org/d[...]
[6] 간행물 "Playboy Interview: Saul Alinsky" Playboy Magazine 1972-03
[7] 논문 "''The Alinsky Legacy: Alive and Kicking.'' by Donald C. Reitzes, Dietrich C. Reitzes"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8] 논문 "''Rules for Radicals: A Pragmatic Primer for Realistic Radicals'' by Saul D. Alinsky; ''How People Get Power: Organizing Oppressed Communities for Action'' by Si Kahn; ''Action for a Change: A Student's Manual for Public Interest Organizing'' by Ralph Nader, Donald Ross; ''Winning Elections: A Handbook in Participatory Politics'' by Dick Simpson; ''Political Action: A Practical Guide to Movement Politics'' by Michael Walzer" 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9] 논문 Assessing Theoretical Models of Community Organization Practice: Alinsky as a Case in Point 1969-06
[10] 문서 Community Organizing or Organizing Community? Gender and the Crafts of Empowerment. https://comm-org.wis[...] 1997
[11] 뉴스 February's Chill Lingers as Koch Addresses Citizens' Group in Queens https://www.nytimes.[...] 2024-04-27
[12] 뉴스 The Alinsky Theory of Protest, Its Application in Queens… https://www.nytimes.[...] 2024-04-27
[13] 논문 Drawing New Symbolic Boundaries Over Old Social Boundaries: Forging Social Movement Unity in Congregation-Based Community Organizing SAGE Publications
[14] 뉴스 Who is Saul Alinsky, and why is Newt Gingrich so obsessed with him? http://www.csmonitor[...] 2016-07-22
[15] 뉴스 Right loves to hate, imitate Alinsky http://www.politico.[...] 2016-09-11
[16] 뉴스 Reading Hillary Rodham's hidden thesis https://www.nbcnews.[...] 2007-03-03
[17] 뉴스 The Making of an American Nazi 2017-12
[18] 서적 No Shortcuts: Organizing for Power in the New Gilded Age https://www.google.c[...]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19] 문서 "Rules for Radicals: A Pragmatic Primer for Realistic Radicals" Random House 1971
[20] 저널 Social Change: Settlement Houses and Saul Alinsky, 1939–1965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1] 저널 Alinsky in the 1980s: Two Contemporary Chicago Community Organizations https://archive.org/[...] Midwest Sociological Socie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